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Next revision | Previous revision | ||
landrover:rangerover-maintenance-cost [2021/12/16] – gomida | landrover:rangerover-maintenance-cost [2025/01/27] (current) – gomida | ||
---|---|---|---|
Line 1: | Line 1: | ||
- | ====== | + | < |
- | ===== Range Rover 4.4 SDV8 Maintenance | + | 레인지로버 4세대;정비 이력과 비용 |
+ | Range Rover 4th-gen | ||
+ | 2025-01-17 | ||
+ | </ | ||
- | < | + | 필자의 |
- | 필자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연 평균 | + | |
- | ^ 분류 ^ 연간 평균 비용 (2016년~2021년)^ | + | |
- | | 고장, 리콜 | < | + | |
- | | 오일, 와이퍼, 배터리 | + | |
- | | 보험료 | 1,045,182 원| | + | |
- | | 자동차세 | 980,178 원| | + | |
- | | 타이어 | 480,000 원| | + | |
- | \\ | + | |
- | 2016년 10월부터 2021년 12월 현재까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고장 ==== | + | |
- | ^ 날짜 ^ 주행거리 ^ 서비스 ^ 비고 ^ 비용 ^ | + | |
- | | 2019.12 | 50,703 | 배기온도센서 (부품주문) | 보증수리 | < | + | |
- | | 2019.12 | 50,785 | 배기온도센서 (수리) | 보증수리 | < | + | |
- | | 2021.03 | 60,416 | LTB01087v4 (오일레벨 센서 쉴드) | 무상수리 | < | + | |
- | | 2021.10 | 66,842 | LTB01087v4 (터보 액추에이터) | 무상수리 | < | + | |
- | \\ | + | |
- | 엔진 경고등 MIL(Malfunction Indicator Lamp)이 점등되는 고장은 2016년 출고이래 현재까지 총 2회 있었다. 무상수리 통지와 MIL 점등을 고려하면 | + | |
- | \\ | + | |
- | \\ | + | |
- | === 배기온도센서 === | + | |
- | 배기온도센서 고장의 경우 3년 5만km 보증이 만료된 직후라 걱정했지만 다행히 배기 관련 부품은 국내법에 따라 5년 8만km 보증을 | + | |
- | \\ | + | |
- | \\ | + | |
- | === LTB01087v4 === | + | |
- | 오일레벨센서와 터보 액추에이터는 랜드로버의 기술 게시 LTB01087v4 와 관련된 것으로, 2020년 통지된 무상수리 프로그램에 의해 보증수리로 처리되었다. 오일레벨센서로부터 메인 터보차저의 액추레이터에 오일이 고이는 문제로, 필자의 차량도 이 현상이 진행되어 있었다. 오일레벨센서는 리콜 프로그램을 통해 개선품으로 교체 받았지만, | + | |
- | 이 엔진(448DT)은 두 개의 | + | <sq landrover: |
+ | |||
+ | ==== 레인지로버 유지비 ==== | ||
+ | ---- | ||
+ | 2016년 10월부터 이 글을 업데이트하는 2025년 1월 현재까지, | ||
+ | |||
+ | ^ 분류 ^ 총 비용 (원, 2016~2025) ^ 연 평균 (원)^ | ||
+ | | 무상정비 | 4,720,583 | 590,073 | | ||
+ | | 유상정비 | 11,355,698 | 1,419,462 | | ||
+ | | 보험 | 9,046,170 | 1,130,771 | | ||
+ | | 자동차세 | 7,879,240 | 984,905 | | ||
+ | | 합계 | 33,001,691 | 4,125,211 | | ||
+ | |||
+ | |||
+ | ==== 정비 | ||
+ | ---- | ||
+ | 2016년 10월부터 이 글을 업데이트하는 2025년 1월 현재까지, | ||
+ | |||
+ | ^ 연 ^ 월 ^ 거리 ^ 서비스 ^ 비용 ^ | ||
+ | | 2017 | 08 | 24,229 | 엔진오일, | ||
+ | | 2018 | 08 | 38,037 | 엔진오일, | ||
+ | | 2019 | 04 | | Continental Cross Contact LX Sport ContiSilent(CSi) | 2,400,000 원 | | ||
+ | | ::: | 07 | 44,298 | 엔진오일, | ||
+ | | ::: | 12 | 50,785 | 배기온도센서 | 무상 < | ||
+ | | 2020 | 07 | 55,970 | 엔진오일 | 548,548 원 | | ||
+ | | 2021 | 02 | 60,141 | 배터리 | 991,320 원 | | ||
+ | | ::: | 03 | 60,416 | 오일레벨센서 누유 (연장선 부착) | 무상 < | ||
+ | | ::: | 07 | 63,878 | 엔진오일 | 658,504 원 | | ||
+ | | ::: | 10 | 66,842 | 오일레벨센서 누유 (메인터보 액추에이터) | 무상 < | ||
+ | | ::: | 12 | 69,928 | 미션/ | ||
+ | | ::: | ::: | ::: | KCC 카케어 플러스 패키지 (엔진오일3회) | 1,721,500 원 | | ||
+ | | 2022 | 05 | 73,286 | 엔진오일, | ||
+ | | ::: | 12 | 83,843 | 엔진오일 | 패키지 2/3 | | ||
+ | | 2023 | 02 | 87,064 | 오일레벨센서 누유 (연장선 교체) | 125,290 원 | | ||
+ | | ::: | 09 | 92,334 | 오일필터하우징 누유 + 써모스탯, | ||
+ | | 2024 | 01 | 97,318 | 엔진오일, | ||
+ | | ::: | 01 | 97,318 | 연료필터 | 177,815 원 | | ||
+ | | 2025 | 01 | 106,187 | 엔진오일, | ||
+ | |||
+ | === 배기온도센서 고장 === | ||
+ | 배기온도센서 고장은 일반 | ||
+ | |||
+ | === 오일레벨센서 누유 === | ||
+ | 오일레벨센서 케이블을 따라 누유된 엔진오일이 메인 터보차저의 액추에이터에 고여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로, 랜드로버 기술 게시 LTB01087v4 및 [[https:// | ||
+ | |||
+ | 사실 상기한 N375 캠페인은 오일이 퍼지는 속도를 늦추는 방법일 뿐, 완전한 해결책은 아닐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엔진오일 팬 내부의 센서와 케이블을 교체 하더라도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동일한 문제가 재현되리라 생각되며, | ||
+ | |||
+ | === 오일필터하우징 누유 === | ||
+ | 오일필터하우징과 EGR 쿨러 사이의 가스켓이 노후되어 누유되는 현상으로, | ||
+ | |||
+ | 오일필터하우징은 오일쿨러와 합쳐져 어셈블리 단위로 공급되고, | ||
+ | |||
+ | ==== 소모품 ==== | ||
+ | ---- | ||
- | 운전석 측에 있는 보조는 고정 지오메트리 터보차저이다. 448DT에서 보조 터보차저는 엔진이 2800rpm 정도의 부하를 가질때 동작을 개시하여 바이터보 모드로 가동된다. 때문에 고속도로 진입 등 빠르게 가속하는 경우 이 부근에서 출력이 증가하고 한동안 유지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 ||
- | </sq> | ||
- | \\ | ||
- | <sq> | ||
- | ==== 오일, 와이퍼, 배터리 ==== | ||
- | ^ 날짜 ^ 주행거리 ^ 서비스 ^ 비고 ^ 비용 ^ | ||
- | | 2017.08 | 24,229 | 엔진오일, | ||
- | | 2018.08 | 38,037 | 엔진오일, | ||
- | | 2019.07 | 44,298 | 엔진오일, | ||
- | | 2020.07 | 50,785 | 엔진오일 || 548,548 원 | | ||
- | | 2021.02 | 60,141 | 배터리 || 991,320 원 | | ||
- | | 2021.07 | 63,878 | 엔진오일 || 658,504 원 | | ||
- | \\ | ||
=== 엔진 오일 === | === 엔진 오일 === | ||
- | 엔진오일 메시지는 1년 또는 25,000km 가운데 하나가 도래되면 표시된다. 랜드로버의 거리 기준이 유난히 긴 편이기 때문에, 주행거리가 많지 않은 필자의 경우 네 번의 소모품 서비스 프로그램을 다 채우지는 못했다. 조금 억울한 가격이긴 하지만 이후에도 20% 가량 할인되는 캠페인 기간을 이용하여 공식 서비스센터에서 엔진오일을 교체하고 있다. 지프 공식 서비스센터에서 | + | 엔진오일 메시지는 1년 또는 25,000km 가운데 하나가 도래되면 표시된다. 랜드로버의 거리 기준이 유난히 긴 편이기 때문에, 주행거리가 많지 않은 필자의 경우 네 번의 소모품 서비스 프로그램을 다 채우지는 못했다. 조금 억울한 가격이긴 하지만 이후에도 20% 가량 할인되는 캠페인 기간을 이용하여 공식 서비스센터에서 엔진오일을 교체하였다. 이후에는 KCC 에서 |
- | \\ | + | |
- | \\ | + | |
=== 배터리 === | === 배터리 === | ||
- | 전동 사이드 스텝 등 동작 부품이 많기 때문인지, | + | 전동 사이드 스텝 등 동작 부품이 많기 때문인지, |
- | \\ | + | |
- | \\ | + | |
^ ^ 기본 배터리 ^ 보조 배터리 ^ | ^ ^ 기본 배터리 ^ 보조 배터리 ^ | ||
| 용량 | 90 Ah | 70 Ah | | | 용량 | 90 Ah | 70 Ah | | ||
| 타입 | AGM | AGM | | | 타입 | AGM | AGM | | ||
| 시동 | 850CCA | 760CCA | | | 시동 | 850CCA | 760CCA | | ||
- | \\ | + | |
- | 워크샵 메뉴얼로 확인한 듀얼 배터리 | + | === 타이어 === |
- | </ | + | 타이어는 약 5만 km 정도에서 순정과 동일한 사양인 275 / 40 / 22 108Y 로 교체하였다. 공식 서비스센터의 견적과 사설 서비스 차이가 그리 크지 않았는데, |
- | \\ | + | |
- | < | + | |
- | ==== 보험료 ==== | + | ==== 오버런 자가 점검 ==== |
- | ^ 날짜 ^ 비고 ^ 비용 ^ | + | ---- |
- | | 2016.10 || 1,838,970 원 | | + | 보조 터보차저는 2800rpm 정도의 부하를 가질 때 동작을 개시하여 바이터보 모드로 가동되는데, |
- | | 2017.10 || 1,072,250 원 | | + | |
- | | 2018.10 || 902,560 원 | | + | 유럽에서는 주행 도중 급가속 시, 엔진오일의 연소로 인한 다량의 흰 연기가 발생하는 비교적 가벼운 이슈로 나타나는 것으로 |
- | | 2019.10 | 마일리지 환급 | 678,200 원 | | + | |
- | | 2020.10 | 마일리지 환급 | 733,930 원 | | + | 오버런은 원인이 다양할 수 있어 점검이 쉽진 않겠지만, |
- | | 2021.10 | 마일리지 환급 | + | |
- | \\ | + | 매니폴드가 깨끗하더라도 인터쿨러 내부에는 엔진오일이 누적되고 있을 수 있는데, 인터쿨러 근처를 분해하여 직접 확인하는 방법이 가장 확실할 것이다. 다만 평소 2800~4000rpm 영역을 사용해 왔었다면 누적 가능성이 낮아, 주행 중 급가속 시 흰 연기가 나오는지 살피는 간접적인 방법도 충분히 유효 |
- | 레인지로버의 | + | |
- | </sq> | + | <sq landrover: |
- | \\ | + | |
- | <sq> | + | <sq landrover: |
+ | |||
+ | === 보조 터보차저의 고착 점검 | ||
+ | <sq landrover: | ||
+ | |||
+ | 이 점검은 OBD 스캐너와 약간의 정비 | ||
+ | |||
+ | <sq : | ||
+ | |||
+ | === MAP 센서 청소 === | ||
+ | 랜드로버 워크샵 메뉴얼에 MAP(Manifold Absolute Pressure) 센서 청소에 관한 언급이 없어서 공식 서비스 센터에서는 챙겨주지 않는 항목이다. 주행 거리 7만 km 당시 카본이 많이 누적되어 첫 청소 후 체감 될 정도의 연비 | ||
+ | |||
+ | <sq : | ||
+ | |||
+ | === 흡기청소 === | ||
+ | <sq : | ||
+ | <sq : | ||
+ | < | ||
+ | |||
+ | |||
==== 자동차세 ==== | ==== 자동차세 ==== | ||
+ | ---- | ||
+ | 레인지로버 4.4 디젤 자동차세는 만 8년간 연 평균 98만원 가량이었다. 아래는 연납 기준 자료이며 유로6 대응이기에 환경부담금은 해당되지 않는다. 현행 세제는 배기량 기준인 만큼, 4.4리터 엔진을 가진 레인지로버의 자동차세는 꽤 높은 편이다. | ||
^ 날짜 ^ 비용 ^ | ^ 날짜 ^ 비용 ^ | ||
| 2016.12 | 192,330 원 | | | 2016.12 | 192,330 원 | | ||
Line 89: | Line 120: | ||
| 2020.01 | 894,140 원 | | | 2020.01 | 894,140 원 | | ||
| 2021.01 | 851,000 원 | | | 2021.01 | 851,000 원 | | ||
- | \\ | + | | 2022.01 | 799,420 원 | |
- | 연납 기준 자료이며 유로6 대응이기에 환경부담금은 해당되지 않는다. 현행 세제는 배기량 기준인 만큼, 4.4리터 엔진을 가진 레인지로버의 자동차세는 꽤 높은 편이다. | + | | 2023.01 | |
- | </ | + | | 2024.01 | 731,320 원 | |
- | \\ | + | | 2025.01 | |
- | < | + | |
- | ==== 타이어 ==== | + | ==== 보험료 ==== |
- | ^ 날짜 ^ 서비스 ^ 비용 ^ | + | ---- |
- | | 2020.04 | Continental Cross Contact LX Sport ContiSilent(CSi) | + | 레인지로버 4.4 디젤 보험료는 만 8년간 연 평균 113만원 |
- | 타이어는 약 5만 km 정도에서 순정과 동일한 사양인 275 / 40 / 22 108Y 로 교체하였다. 공식 서비스센터의 견적과 사설 서비스 차이가 그리 크지 않았는데, 공식 서비스센터의 경우 토요일 작업이 불가하다고 하여 사설 서비스를 선택하였다. 컨티넨탈 LX Sport 제품군의 경우 흡음재가 없는 저렴한 non-CSi 버전이 함께 유통되고 있어 약간의 주의가 필요하다. | + | ^ 날짜 ^ 비고 ^ 비용 ^ |
- | </ | + | | 2016.10 | | 1,838,970 원 | |
- | \\ | + | | 2017.10 | | |
- | < | + | | 2018.10 | | |
- | ==== 자가 정비 ==== | + | | 2019.10 | 마일리지 환급 |
- | ^ 날짜 ^ 서비스 ^ 비고 ^ 비용 ^ | + | | 2020.10 | 마일리지 환급 |
- | | 2021.11 | CRC 05110 MAF 센서 클리너 | 해외직구 | + | | 2021.10 | | |
- | \\ | + | | 2022.10 | | |
- | === MAP 센서 청소 | + | | 2023.10 | 운전자 범위 확대 | 1,063,150 원 | |
- | 그리 어렵지 않은 자가 정비 가운데 효과가 어느정도 체감되는 것은 MAP(Manifold Absolute Pressure) 센서의 청소인 듯 싶다. MAP 센서는 EGR(Exhaust Gas Recirculation) 아울렛 바로 뒤에 위치하여 쉽게 다시 오염되기 때문인지, 랜드로버 워크샵 메뉴얼에는 MAP 센서 청소에 대한 기재가 없고, 단지 MAP 센서에 오류가 발생하면 ECU(Engine Control Unit)는 MAP 센서 값 대신 표준 대기압(1기압, | + | | 2024.10 | | 1,027,320 원 | |
- | </ | + | |
- | \\ | + | |
- | <sq : | + | |
- | \\ | + | |
- | <sq : | + | |
- | \\ | + | |
- | < | + | |
- | ==== 요소수 ==== | + | |
- | ^ 날짜 | + | |
- | | 2017.04 | 요소수 10L | 유록스 | + | |
- | | 2018.08 | 요소수 15L | 서비스센터 | + | |
- | | 2020.04 | 요소수 7L | 유록스 | + | |
- | | 2021.05 | 요소수 7L | 유록스 | + | |
- | | 2021.11 | 요소수 7.5L | LR072258 해외직구 | + | |
- | \\ | + | |
- | 본래 굳이 기록하지 않아왔던 사소한 소모품 이었지만, | + | |
- | 다른 메이커들과는 달리 아래 사진처럼 요소수 주입구가 엔진룸에 배치되어 있고, 수직인 만큼 요소수 포장에 따라서는 주입 난이도가 조금 있는 편이다. L405 플랫폼을 크게 변경하지 않고 SCR을 추가하기 위한 디자인으로 보여지는데, | + | {{page>:garage& |
- | </sq>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