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Link to this comparison view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Both sides next revision
notes:fountain [2017/02/15] gomidanotes:fountain [2017/02/20] gomida
Line 69: Line 69:
 ==== 랩터 인코딩에서 역행렬을 구하는 과정이 단지 Systematic Code 특성만을 위한 것인가? ==== ==== 랩터 인코딩에서 역행렬을 구하는 과정이 단지 Systematic Code 특성만을 위한 것인가? ====
 아직 완전한 이해를 못 한 부분 가운데 하나이다. 하지만 Non-systematic LT 코드에서 제약심볼 생성을 가정하면 A<sup>-1</sup>를 사용하지 않아도 될 것이기에 Systematic 속성을 위한 것이라 잠정 이해하고 있다. 아직 완전한 이해를 못 한 부분 가운데 하나이다. 하지만 Non-systematic LT 코드에서 제약심볼 생성을 가정하면 A<sup>-1</sup>를 사용하지 않아도 될 것이기에 Systematic 속성을 위한 것이라 잠정 이해하고 있다.
-</sq> 
-<sq> 
-==== 랩터Q에서의 ISI, ESI? ==== 
-ESI의 경우 RFC5053 랩터에서는 Encode Symbol Id 였는데, RFC6330 랩터Q에서는 External Symbol Id로 변경되었다. 이는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Internal Symbol Id와 구분하기 위해 변경된 것으로 랩터에서 L=K+S+H 였던 것에 비하여 랩터Q에서 L=K'+S+H로 소스심볼 영역에 해당하는 K 조차도 PADDING 되어 확장되기 때문이다. 더구나 해당 PADDING은 ID 계산을 단순화하기 위해서였는지 소스 데이터의 앞 쪽에 붙는다. 제약심볼을 위한 PADDING을 포함하면 소스심볼들을 가운데 두고 앞 뒤로 ZERO 심볼들을 가진 형태를 띄는데, 프로그래머 입장에서는 구조를 이해하기 전 까지 여간 이상한 디자인이 아닐 수 없었다. ZERO PADDING 자체는 일종의 패리티 체크로 생각하면 받아들이기 쉽다. 
 </sq> </sq>

TypeError: Cannot access offset of type string on string

TypeError: Cannot access offset of type string on string

An unforeseen error has occured. This is most likely a bug somewhere.

More info has been written to the DokuWiki error log.